티스토리 뷰

직장생활

부가세 발행전 체크사항

러버캉 2024. 4. 15. 16:09

목차



    반응형
    부가세 발행전 꼭 체크


    사업장에서는 분기별로 부가세 신고를 하여야합니다.

    신고하기전 자료들이 제대로 등록되었는지 확인을 하여야 하는데요~

    젤 먼저 계산서 발급과 수령을 잘 하였는지...

    부가가치세 메뉴에서 [세금계산서합계표]  [계산서합계표] 조회를 합니다. 그리고 국세청과 비교를 해야겠지요~ 혹여나 다른부분이 있다면 매출이야 자사에서 하는거니까 다를게 없지만... 매입에서는 빠진부분은 매입매출장에 기록하고 잘못 등록한 내용은 빼는 작업을 하여야 합니다.

    국세청에서는 [전자(세금)계산서 조회 - 합계표.통계 조회 - 전자(세금)계산서 합계표 조회]

    전자세금계산서 / 전자계산서  체크하시고 매출/매입 분기별 1기예정

    저희 회사같은 경우에는 매출 전자세금계산서/ 매입 전자세금계산서/ 매입전자계산서 총 3번 조회하여 더존과 일치하는지 여부 확인합니다.  

    이렇게 계산서 확인이 끝난후 

    제품생산에 필요한구매 신용카드사용분이 있다면 부가세환급 받아야하니 그 부분 체크 하여야합니다.

    아래 링크에 한번 설명 해놓았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https://loverkang.tistory.com/62

     

    사업용카드매출 부가세신고

    부가세 신고시 사업용카드 부가세 정리 더존 -> 회계 -> 부가가치세 -> 주요신고서류 -> 신용카드수령금액합계표 조회를 하면 아래와 같이 보인다 이때 어??? 운수업이 아닌 제조업에서 제조업 식

    loverkang.tistory.com

     

    혹여나 제품생산에 필요한 기계를 구입했다거나 건물 매입을 했다~ 그러면... 자산으로 등록이 될것이며 이부분 또한 부가세신고전 확인해야 할 내용중 하나입니다.

    [건물등감가상각자산취득명세서] 자료도 꼭 정리하여 부가세 신고시 필요서류 누락 없기를 바라겠습니다.

     

     

    수출 하고 있는 업체에서는 [수출실적명세서] 작성또한 하여야 하는데 

    더존 분기 1월~3월 조회한 후 수출신고필증 상 [5.신고번호]를 수출신고번호에 작성하고 선적일자는 신고후 실질적으로 선적한 날을 기준으로 등록합니다. 저희 회사는 전날 신고하고 다음날 선적하여 2월1일자로 기록하고 환율또한 2월1일 기준으로 등록하였습니다. 회사마다 선적일은 상이할수있으니 본인회사의 내용과 맞게 날짜와 외화환율을 기록하면 됩니다.

    [수출실적명세서]는 말 그대로 한국에서 수출한 내용만 기록합니다. 

    다음글에서는 수출과 기재구매확인서 자료를 받은 수출 그리고 중계무역수출 내용 기록하는 방법 자세히 올리겠습니다.

     

    부가세 신고전 확인해야할 내용이 이처럼 다양한 만큼 업체마다의 특성을 고려하여 부가세 신고시 빠진서류 없는지 확인 꼼꼼이 하시어 신고하십시요~

    직장인 여러분 모두모두 화이팅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