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직장생활

연차 수당 계산하는 방법

러버캉 2024. 12. 27. 17:20

목차



    반응형

    연차수당은 근로자가 사용하지 않은 연차휴가에 대해 지급받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연차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용하지 않은 연차를 금전적으로 보상받는 형태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됩니다.

     


    먼저 본인의 연차가 몇개인지는 알아야합니다.

    본인의 입사일 기준 2019년 입사일이라면 2024년 17개의 연차가 생성 됩니다.

     

    2024년 기준 입사년도별 추가연차  ]

    입사년도 추가 일수 기본 일수 총 사용가능 일수
    2021년 1 15 16
    2019년 2 15 17
    2017년 3 15 18
    2015년 4 15 19
    2013년 5 15 20
    2011년 6 15 21
    2009년 7 15 22

     

    그리고 본인이 사용한 연차일을 가감 해줍니다.

     

    1. 연차수당 계산 공식

    연차수당 = 1일 통상임금 × 사용하지 않은 연차일수

    여기서:

    • 1일 통상임금:
      • 통상임금은 정기적, 일률적,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 보통은 시급 × 8시간 또는 월급 ÷ 소정근로시간 × 8시간으로 계산합니다.
    • 사용하지 않은 연차일수:
      • 연차일수는 근로자의 근속기간과 출근율에 따라 부여됩니다.
      •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경우 15일의 연차가 부여되며, 사용하지 않은 일수만큼 보상받습니다.

    2. 예제

    • 월급: 250만 원
    • 소정근로시간: 주 40시간(월 약 209시간)
    • 사용하지 않은 연차일수: 5일

    계산 과정:       1일 통상임금 계산 : 1일통상임금=250만원 / 209시간×8시간=약95,693원

                             연차수당 계산 : 연차 5일남음 연차수당=95,693원×5일=약478,465원  

     

     


    3. 주의사항

    • 회사마다 임금 계산 방식이나 지급 기준이 약간 다를 수 있으므로 근로계약서 또는 취업규칙을 확인하세요.
    • 법적으로 연차수당은 근로자가 연차를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만 지급됩니다.
    • 연차사용촉진제도에 따라 적법하게 촉진된 경우,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해 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희 회사 같은경우 생산직 분들은 연차사용이 자유롭지 못하기에 계산하여 추후 연차비용을 지급하지만, 관리직의 경우 가능한 연차사용 독려를 하고 있어 연차지급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하여 회사내규 꼭 확인하시고 정당한 연차비용은 수령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