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이제는 조금 편하지만 처음엔 계정과목 자체가 어려웠던 기억이...(참고로 저는 어문계열 대학을 나왔습니다 ㅋㅋ)

    외상대금을 줘야하지만 검색부터가 어려웠습니다.

    하여 오늘은 계정과목 대략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너무 쉽고 다 아는 내용이겠지만 제가 처음 회사 입사하고 아무것도 몰랐을때를 생각하며 기록해 본니다.


    • 자산 계정과목

    자산 중 당좌자산(10100-14599)

    당좌자산 계정과목 중 많이 사용하는 코드

    코드번호 101 / 103 / 108 / 110 / 120

    일반적인 회사에서는 현금 101 / 보통예금 103 / 외상매출금 108 / 받을어음  110 / 미수금 120

    제품을 팔게되면 현금 , 보통예금 또는 어음으로 대금을 받게 됩니다.

    그럼 차변에 현금 보통예금 어음 금액을 작성하고 대변에는 거래업체와 금액을 작성하게 됩니다.

    ex.  보통예금 1,000,000   /   XX상사  1,000,000

     

    자산 중 당좌자산(10100-14599)

    재고자산 계정과목 중 많이 사용하는 코드 146 / 153

    대부분 자동새팅 되는 내용들이라 제조업이라면 153 원재료 코드를 대부분 사용하겠지만 상품을 구매해서 판매하는곳이라면 146 상품 코드를 사용합니다. (ex. 상품구매했을때  차변 146 상품 10,000 / 대변 251 외상매입금 10,000  or 103 보통예금 10,000 )


    가끔 [계정과목및적용등록] 에서 직접 계정과목을 만들어야할때가 있습니다

    대부분 사용하는 사용하는 계정과목은 만들어져 있어 굳이 손댈 필요 없지만 

    먼저 만들어야할 계정과목이 어디에 속하는지 부터 알아보아야 합니다

    예를들어 외화통장 계정과목을 만들고 싶다

    그러면.. 이부분이 어디에 속하는지... 자산에 속하게 되니 

    자산코드중 비어있는 란을 선택하여 계정과목 명칭을 쓰고(명칭은 회사내에서 편하게 확인할수 있게끔 정함) 

    구분에서 예금인지 적금인지 확인하여 체크하여야합니다

    코드번호 128   /  보통예금(외화)  / 구분-예금 / 관계(혹 차감계정으로 대손충당금처럼 상대계저을 등록)

    조금 어렵지만 이부분은 입사한지 얼마 안된다면 손대지 못하게 합니다

    회사를 좀더 알게되면 쉽게 작성 가능할듯 합니다.

     


    • 부채 계정과목

    부채에서 많이 사용하는 코드는  251 / 252 / 253 / 254 / 259 등 (생각보다 부채에서는 사용하는 코드가 많습니다.)

    251 외상매입금  - 거래처에서 원자재, 상품을 구매하게 되면 외상매입금으로 잡아놓고 추후 지급하게 됩니다. (ex. 차변 거래처  10,000  /  대변 251 외상매입금 10,000) 

    252 지급어음 - 거래처에서 원자재, 상품 구입후 현금 지급이 어려울땐 어음발행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코드입니다. (ex.  차변  거래처  10,000  / 대변 252 지급어음 10,000     추후 지급어음정리  차변 252 지급어음 10,000 / 대변 102 당좌예금 10,000         대부분회사는 당좌통장계좌를 따로 만들어 자산 102 당좌예금에서 처리)

     253 미지급금 - 제품을 생산에 필요한 직접 원자재 외 구입  소모품 구입때 사용하는 계정과목입니다. 원자재, 상품 외 구입때 대부분 미지급금을 사용한다고 보면 될듯 합니다. (ex. 830 소모품    1,000 / 253 미지급금 1,000) 추후 금액 지급할때는 미지급금이 차변에 가고 대변 보통예금이나 현금이 나가겠지요)

    254 예수금 - 직원들의 4대보험 중 일부는 회사에서 납부 하지만 또 일부는 급여에서 정리하게 되어있지요 그때 직원 급여에서 빼놓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그리고 소득세 지방소득세 금액을 254 예수금으로 잡아놓습니다. 그리고 추후 매달 10일 원천징수 금액 지급할때 소득세 지방소득세를 차변에서 차감하고 대변 보통예금에서 나가며 또한 4대보험도 10일에 정리하게 됩니다. (ex.  차변 급여  10,000 / 대변 급여 9,000   254 예수금 10,000    추후 매달 10일 차변 254 예수금 1,000 / 보통예금 1,000)

    259 선수금 - 제품 출고전에 거래처에서 매출금액을 미리 받았을 경우 (ex. 차변 103 보통예금 1,000 / 대변 259 선수금 1,000  추후 매출이 이루어지면   차변  259 선수금 1,000  / 대변 108 외상매출금 1,000)


    아주 기초적인 내용이라 괜히 봤다 생각하실수도 있지만 기본 자산, 부채 계정과목을 알고 사용하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반응형